본문 바로가기
자동차정보

주행 중 시동 꺼짐 차 멈춤 현상 원인은?

by Markpd 2021. 4. 9.

주행 중 갑작스럽게 시동이 꺼지거나 차가 멈춘다면 위험하고 굉장히 당황하게 됩니다. 특히 이런 일은 장애물을 통과하거나 코너를 돌 때 등의 상황에서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문제를 즉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에서는 주행 중 차 멈춤 현상 원인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행 중 시동 꺼짐

주행 중 차 멈춤 현상 원인

1. 브레이크 시스템의 오작동

제동 중 차량이 갑작스럽게 정지하는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입니다. 우선 브레이크 부스터와 관련 부품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브레이크 시스템의 목적은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밸런스를 잡아 주는 것으로 고장이 났을 때 차 멈춤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시스템 오작동은 일반적인 힘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여러 번 밟아 보고 처음부터 마지막 밟을 때까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유심히 체크해 봐야 합니다. 밟을 때마다 페달이 팽팽하게 올라오고 제대로 밟는 느낌이 나야 하는데 만일 고장이 났을 경우 이러한 차이가 느껴지지 않을 것입니다.

 

2. 연료 시스템의 오작동

연료 펌프 또는 연료 필터 막히면 연료 시스템 오작동으로 인해 차가 멈출 수 있습니다. 제동 시스템이 활성화되면 연료 펌프가 연료 공급을 담당하게 됩니다. 이 장치에 문제가 생기면 엔진이 갑자기 중단되며 이런 경우 진단을 위해 압력 게이지를 사용하여 연료 시스템의 압력 표시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막힌 연료 필터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필터의 구멍이 막혀 연료가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게 되면 연료 시스템이 부하되고 연료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게 됩니다. 때문에 연료 필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적시에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3. IAC(공회전 속도 조절기)의 고장

IAC는 안정적인 엔진 공회전 속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센서에 문제가 생길 경우 시동 꺼짐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권선 결함이나 엔진 제어 장치와의 통신 불량으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할 경우 반드시 정비소 등에서 전문적인 정비를 받아야 합니다.

댓글